신앙, 가족 상담관련

현실요법. 욕구 관련 강의진행

커피향기59 2015. 7. 29. 15:33

    강의명 / 현실요법을 통한 의사소통 기술 익히기     


☑ 첫째날 : 나의 좋은 세계


1) 선택이론 및 현실요법 소개

2) 현실세계와 좋은세계 - '좋은세계'란? (Quality world)

3) 욕구(Need)와 바램(Want) - 5가지 욕구 개괄 해설

 

 # 작업 :

 

   1) 간단한 자기 소개


      ① 긍정적 자기 별칭 짓기         ② 기분좋은 장소           ③ 좋아하는 색

      ④ 기분좋은 사람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⑤ 내가 제일 잘 하는 것          ⑥ 바꾸고 싶은 것       

      ⑦ 최근 기분 좋았던 일             ⑧ 최근 기분 나빴던 일


 

   2) 욕구 깃발 만들기


<준비물>

   1. 모듬 / 양면 색종이 여러장, 테이프, 명찰(인원수대로), 매직(싸인펜),

             프로잭트빔

   2. 강사 / 자기소개서, 강의안, 노트북

 



  # 과제 : 다음 두가지 중 택일하세요!

   

  1) 나의 장점 100가지, 배우자(혹은 자녀)의 장점 100가지

  2) 5가지 욕구 중 한가지라도 들어있도록 노래 가사 바꾸어 오기


☑ 둘째날 : 내가 진짜 원하는 것은 무엇인가?


1) 과제 나눔


2) 5가지 욕구 해설 - 관계를 통한 사례를 중심으로


   ① 생존의 욕구     ② 사랑과 소속의 욕구     ③ 힘과 성취의 욕구     

   ④ 자유의 욕구     ⑤ 즐거움의 욕구


3) 나의 욕구 알아내기


 # 작업 :


 1) 욕구강도프로파일 조사 및 Feedback


      ① 나의 욕구 중 가장 높은 것과 가장 낮은 것은?

      ② 욕구가 좌절 또는 억압되었을 때, 내가 했던 행동상황들에 대해

      ③ 나의 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해서 (의도하지 않았어도) 다른 사람의

         욕구를 침범하거나 방해했던 경험은 없었는지?


  2) 예시문을 통한 다른 사람의 욕구 알아내기


  3) 상대방의 욕구를 충족할 수 있는 방법 찾기


<준비물>

   1. 모듬 / 프로잭트빔, 개인 필기도구

   2. 강사 / 욕구강도 프로파일 각 2장씩, 예시문, 강의안, 노트북

 


# 과제 : 배우자 혹은 자녀 욕구 조사해 오기 (프로파일 나눠 줄 예정)


☑ 셋째날 : 내적동기와 외부통제


1) 과제 나눔


2) 주제 :

자기 자신만이 자신의 행동을 바꾸도록 통제할 수 있다.

어떤 행동 선택의 주인은 바로 '나' 자신이며 ‘나’ 자신만이 그 결과에 대한 책임을 질 수 있다.


3) 전행동(신체반응, 생각하기, 느끼기, 활동하기)에 대한 이해


4) 나의 바램, 하고 있는 행동, 평가를 통한 효과적인 계획 세우기

   (W-D-E-P) / (간-즉-구-진)


# 작업 :


  1) 내가 원하는 것을 얻지 못했을 때 (최근의 경험)


     - 내 몸의 반응은?     

     - 나의 느낌은 어떠한가?

     - 무엇을 생각하고 있는가? (투사-내탓,남탓,주변탓/핑계, 변명)

     - 나는 무슨 활동하기를 하고 있는가?

     - 내가 지금 하고 있는 것이 나에게 도움이 되는가?


  2) 자기소개서 문항 중 ⑥ 바꾸고 싶은 자기 모습에 대한 자기 평가 훈련


     - 내가 원하는 것은?

     - 원하는 것을 얻기 위해 하고 있는 행동은?

     - 그 행동이 도움이 되었는가?

     - 새로운 계획 세우기 (간-즉-구-진의 원칙)


  3) 어떤 상황에서 내가 주로 하는 변명은? 변명 찢어 버리기


<준비물>

   1. 모듬 / 색종이, 매직(싸인펜), 개인 필기도구, 프로잭트빔

   2. 강사 / 작업지, 강의안, 노트북

 


☑ 넷째날 : 관계에 대한 자기평가 점검


1. 관계에 대한 자기 평가


2. 관계를 좋게하는 말, 행동

- 차이 인정, 경청, 지지, 공감, 이해, 수용, 칭찬, 내감정 전달, 시선일치 등


3. 관계를 나쁘게 하는 말, 행동

  - 평가, 비난, 비판, 무관심, 무시, 불신, 잔소리, 회피, 감정 등


4. 서로 기분좋은 의사소통 기술



# 작업 :


  1) 관계 평가지

  2) 예시문을 통해 본 두가지 의사소통 (미완성 문장 완성하기)

  3) 의사소통 척도 평가

  

 

[예시문] 다른 사람의 욕구(Need)와 바램(Want) 알아내기


<서로에 대해 갖고 있는 판단, 선입견>


◆ 남편의 얘기


아내는 내 감정 따위는 안중에도 없습니다.

오후에 수업이 있다고 저녁식사를 제 때 차려 주는 법이 없습니다.

사람들을 초대할 때도 제 친구들은 초대하지 않습니다.

항상 자기 친구들만 초대하는데, 저는 따분하기 짝이 없어요.

그리고 성생활에도 관심이 없습니다.


◆ 아내의 얘기


남편은 자기 방식대로만 하려고 해요.

제가 제 수업을 중시하는 걸 아니까 저녁을 차려줄 때까지 기다리거나,

수업이 있는 날은 외식이라도 시켜주면 좋잖아요.

성 관계도 아주 기계적이에요.

자기가 손짓만 하면 바로 누워야 한다고 생각해요.

저녁식사 하면서 “오늘 밤에는 관계를 가져야 해”하고는 신문을 보러가죠.

저는 촛불, 음악 같은 분위기가 필요해요...

그리고 또 남편은 제 친구들을 항상 비판해요.

자기는 친구가 하나도 없으면서..

그래서 사람들을 초대하는 것을 그만두었어요.

 

남 편

아 내

Want

(바램)

 

Want

(바램)

 

Doing

(행동)

 

Doing

(행동)

 

Evoluation

(평가)

 

Evoluation

(평가)

 

Plan

(계획)

 

Plan

(계획)

 

 


<인간관계 개선을 위한 Win-Win 욕구 충족>


▶ 상황


▶ 욕구찾기 


 

나의 Want

상대방의 Want

양보할 수 있는

절충 가능한

 

 

절대로 양보할 수 없는

절충 불가능한

 

 

 


내가 원하는 것을 얻지 못했을 때

어떤 느낌과 생각이 듭니까?



▶ 내 마음의 세계에서 원하는 사진과 실제 상황이 전혀 일치하는 않는 상황들을 묘사해 보자.


▶ 내가 원하는 사진과 현실 사진이 맞지 않아, 내 전행동 자동차의 바퀴가 돌아가기 시작했다.

    다음을 점검해 보자.

 

내가 원하는 것

실 제 상 황

 

 

 


   1) 사진이 맞지 않았을 때 나의 느낌은 어떠한가?

   2) 어떤 육체적인 증상이 있는가? 나의 몸이 뭐라고 말하고 있는가?

   3) 사진이 맞지 않았을 때 어떤 생각이 들었나?

   4) 그 때, 나는 어떤 행동을 했는가?

   5) 내가 한 행동이 원하는 것을 얻는데 도움이 되었는가?